쇼니 사다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니 사다요리는 일본 난보쿠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다. 1387년 규슈 단다이 이마가와 료슌과 화친하여 지쿠젠 국 슈고로 복귀했으나, 시부카와 미쓰요리의 명을 거부하고 기쿠치 다케토모와 동맹하여 반항했다. 1397년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명을 받은 오우치 요시히로 등의 공격을 받았으나, 1399년 오에이의 난으로 오우치 요시히로가 사망하고 오우치 가문이 쇠퇴하자 세력을 회복하여 부젠 국 슈고 자리를 빼앗았다. 1404년 규슈 단다이를 압도할 정도로 세력을 키웠으나 병으로 사망했으며, 가독은 아들 쇼니 미쓰사다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72년 출생 - 최사유
최사유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39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402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익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영원군에 봉해졌다. - 1372년 출생 - 루이 1세 도를레앙 공작
루이 1세 도를레앙 공작은 프랑스 왕 샤를 5세의 아들이자 샤를 6세의 동생으로, 섭정권 다툼과 불륜, 암살 등으로 아르마냐크-부르고뉴 내전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루이 12세와 프랑수아 1세의 조상이다. - 1404년 사망 - 교황 보니파시오 9세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서방 교회 대분열 시대에 1389년부터 1404년까지 재임한 로마 교황으로, 교황령에 대한 세속적 통치권 확립과 재건에 힘썼으나 아비뇽의 대립교황과 대립하고 성직 매매 등으로 비판받았다. - 1404년 사망 - 익안대군
익안대군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아들로, 조선 건국 후 익안군에 봉해지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온후하고 검소한 성품으로 마한 공정공에 추봉, 정종의 묘정에 배향, 영종정경부사에 추증되었다. - 쇼니씨 - 쇼니 요시요리
쇼니 요시요리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아버지와 형의 전사 후 동생과 함께 쓰시마로 피신하여 가문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쇼니씨 - 쇼니 요리히사
쇼니 요리히사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규슈를 관할한 쇼니 씨의 5대 당주 쇼니 사다쓰네의 아들로, 겐코의 난과 겐무 신정에서 활약하고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지지했으나, 세력 다툼과 패배로 은거하여 사망했다.
쇼니 사다요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쇼니시(少弐氏) |
이름 | 쇼니 사다요리(少弐貞頼) |
시대 | 남북조 시대 - 무로마치 시대 |
출생 | 분추(文中) 원년/오안(応安) 5년(1372년) |
사망 | 오에이(応永) 11년 6월 20일(1404년 7월 27일) |
계명 | 이운혼에(怡雲本恵) |
관위 | 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 |
막부 | 무로마치 막부 지쿠젠・부젠 슈고 |
주군 |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 |
부모 | 아버지: 쇼니 요리즈미(少弐頼澄) |
자녀 | 미쓰사다(満貞), 요코타케 요리후사(横岳頼房) |
2. 약력
겐추(元中) 4년/가케이(嘉慶) 원년(1387년), 규슈 단다이(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과 일시 화친을 맺고 지쿠젠국(筑前国)의 슈고(守護)로 복귀했다.[8] 그러나 료슌의 후임 규슈 단다이가 된 시부카와 미쓰요리(渋川満頼)의 명을 따르지 않고 기쿠치 다케토모와 동맹을 맺어 반항할 자세를 보였고, 오에이 4년(1397년) 3대 쇼군(将軍)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의 명을 받은 오우치 요시히로(大内義弘)나 오토모 지카요(大友親世) 등의 공격으로 일시 궁지에 몰리기도 했다.[8] 오에이 6년(1399년)에 발발한 오에이의 난(応永の乱)으로 요시히로가 패사하고 오우치 씨(大内氏)가 일시 쇠퇴한 것을 계기로 세력을 회복하고 부젠국(豊前国) 슈고 자리를 오우치로부터 빼앗았다.
오에이 11년(1404년) 쇼니 씨는 규슈 단다이를 압도할 정도로 세력을 회복하였으나, 이 해에 사다요리는 병으로 사망하였다. 가독은 아들 미쓰사다가 이었다.
2. 1. 규슈 단다이와의 관계
겐추(元中) 4년/가케이(嘉慶) 원년(1387년), 규슈 단다이(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과 일시적으로 화친하고 지쿠젠국(筑前国) 슈고(守護)로 복귀했다.[8][4] 그러나 료슌의 후임 규슈 단다이 시부카와 미쓰요리(渋川満頼)의 명을 따르지 않고 기쿠치 다케토모와 동맹을 맺어 반항하는 자세를 보였다.[8][4] 오에이(応永) 4년(1397년) 3대 쇼군(将軍)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의 명을 받은 오우치 요시히로(大内義弘)나 오토모 지카요(大友親世) 등의 공격으로 일시 궁지에 몰리기도 했다.[8][4]2. 2. 오우치 가문과의 대립
겐추(元中) 4년/가케이(嘉慶) 원년(1387년) 규슈 단다이(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과 일시 화친을 맺고 지쿠젠국(筑前国)의 슈고(守護)로 돌아왔다.[8][4] 그러나 이마가와 료슌의 후임 규슈 단다이(九州探題)가 된 시부카와 미쓰요리(渋川満頼)의 명을 따르지 않고 기쿠치 다케토모와 동맹을 맺어 반항적인 자세를 보였다.[4] 오에이 4년(1397년) 3대 쇼군(将軍)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의 명을 받은 오우치 요시히로(大内義弘)나 오토모 지카요(大友親世) 등의 공격으로 일시 궁지에 몰렸다.[8][4] 오에이 6년(1399년) 오에이의 난(応永の乱)으로 오우치 요시히로(大内義弘)가 패사하고 오우치 씨(大内氏)가 일시 쇠퇴한 것을 계기로 세력을 회복했다.[8][4] 이후 부젠국(豊前国) 슈고 자리를 오우치 씨(大内氏)로부터 빼앗았다.[8][4]2. 3. 사망
오에이 11년(1404년), 쇼니 가문은 규슈 단다이를 압도할 정도로 세력을 회복하였으나, 같은 해 사다요리는 병으로 사망하였다.[8][4] 가독은 아들 미쓰사다가 이었다.참조
[1]
서적
大日本史料
[2]
서적
光浄寺文書
[3]
서적
横岳系図
[4]
서적
大日本史料
[5]
서적
대일본사료
[6]
서적
광정사문서
[7]
서적
요코타케 계도
[8]
서적
대일본사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